개인공부용으로 Lean Analytics(린분석)을 읽고 독서노트 정리중입니다.
자료출처 : 한빛미디어 'Lean Analytics(린분석)'
좋은지표란 무엇인가?
1. 상대적이다 : 비교할 수 있게 만들어라 (지난주 보다 전환율이 증가했다)
2. 이해하기 쉽다 : 분석하기 쉽고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쉬워야한다.
3. 비율로 표현된다 : 기능을 제공하는데 소요되는 비율등을 지표로 표현할수 있다면 사업의 판단이 서기 쉽다
4. 행동방식을 바꾼다 : 조건에 따른 지표들은 실험관련 지표들은 가격, 제품, 시장을 바꿀수 있다.
- 데이터 수집 전에 어떤 데이터 변화에 따라 행동을 바꿀지 미리 합의해야한다.
- 지표의 기준치를 정한다
*전환율은 구매시간과 관련(현금흐름을 알 수 있음)
*바이럴계수와 바이럴주기(채택률에 영향)
올바른 지표를 선택하기 위한 염두사항
지표 | 설명 |
정성적지표와 정량적지표 |
정성적지표(인터뷰, 토론 등)는 실험이나 관찰, 경험에 바탕을 두며 실상을 보여주지만 비구조적이고 종합하기어렵다. '왜'에 대한 답을 제공 하며 감정을 반영 정량적지표(숫자)는 숫자와 통계의 형태를 띠며 구체적 수치를 제공하지만 정황정보가 부족하다. '얼마나 많이''무엇'의 답을 제공 |
허상지표와 실질지표 |
허상지표는 잠깐 기분을 좋게하지만 실질지표는 행동방침을 선택할때 도움을 주어 행동을 바꾸게 한다. 데이터는 정보를 제공하며 방향성을 주어 사업모델을 개선시키는데 결정적으로 도움을 준다. 행동을 바꿔줄 지표를 볼 수 없다면 주도적으로 일한다고 볼 수 없다.
*활동사용자 비율은 실질지표. 이 지표를 기준으로 실험과 학습을 반복해보면 개선할 것들이 보인다. *특정기간동안 확보한 사용자수는 마케팅성과를 측정할때 유용하다. |
탐색지표와 보고지표 |
탐색지표는 추론에 기반하여 알려지지 않은 내용을 찾는데 목적이 있으나 보고 지표는 정상적이고 일상적인 경영상황을 빠짐없이 알 수 있게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. 시장을 뒤흔들 새로운 뭔가를 발견하기 위해 탐색하라. 분석을 통해 직관을 테스트하고 가설을 증거로 바꿀수 있다. |
선행지표와 후행지표 |
선행지표는 미래를 예측하게 돕고 후행지표는 과거를 설명해준다. 선행지표는 조치를 취할수있어 더 유용하다. 선행지표가 유용하려면 일정기간 코호트 분석을 하고 여러 고객군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.
추적중인 지표가 좀 더 유리한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지 판단해야한다. |
상관지표와 인과지표 |
두 지표값이 함께 움직이면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자. 한지표가 다른지표를 움직이게 하면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자. 인과관계가 없는 단순한 상관관계를 참고하면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다. 상관관계는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많은 요소과 인과적으로 복합적으로 발생한다.
인과관계를 입증하려면 상관관계를 찾고 변수를 통제하면서 차이를 측정하는 실험을 해야한다. |
주의해야할 허상지표
히트수 : 히트수 대신 사용자 수를 세라
페이지뷰 : 사용자가 요청한 웹페이지의 횟수를 세기 때문에 히트수보다는 낫지만 그래도 사용자수를 세야한다.
방문수 : 한사람이 백번 방문하는것과 백사람이 한번 방문하는 경우를 구분하지 못해 좋지 않다
순수방문자수 : 홈페이지를 방문한 사람의 수를 알려줄뿐 이들이 무엇을 했는지 알기 어렵다.
팔로어/좋아요/친구 수 : 단순한 수는 의미 없지만 요청하는 일을 해줄수 있는 팔로어가 몇인지는 도움이 된다
사이트에 머무른 시간/페이지수 : 사업이 이런 행동과 관련이 있지 않다면 알려주는 바가 없다
수집된 이메일 주소 : 이메일을 많이 확보하는것보다 내 요청에 행동하는 이메일이 몇인지 세는게 더 중요하다
다운로드 횟수 : 다운로드 자체만으로는 실질적인 가치로 이어지지 않는다. 활성화, 계정생성 등 다른것을 측정하라
고객세분화, 코호트, A/B테스트와 다변량 분석
고객세분화 | 코호트분석 | A/B테스트 | 다변량분석 |
공통의 특징을 공유하는 집단을 묶는방법. 모든 사람들을 어떤 특징(나이, 성별 등)으로 나눈뒤 비교 |
시간을 두고 비슷한 그룹을 묶어 비교하는 방법 *핵심지표값이 좋아지는지를 보려면 코호트를 비교하면 된다 |
한가지를 바꿔 결과를 측정 (트래픽이 많을경우 사용) |
여러가지를 동시에 바꿔 어떤것이 어떤 결과가 있는지 상관관계를 파악(트래픽이 적을경우 사용) |
'GA마케팅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ean Analytics(린분석) _사업모델 플립북 (0) | 2019.09.16 |
---|---|
Lean Analytics(린분석) _OMTM(One Metric That Matters, 중요한 한가지 지표) (0) | 2019.09.16 |
Lean Analytics(린분석) _ 데이브 맥클루어의 해적지표 AARRR (0) | 2019.09.11 |
Lean Analytics(린분석) _린캔버스 (0) | 2019.09.11 |
Lean Analytics(린분석) _다양한지표 (0) | 2019.09.10 |
Lean Analytics(린분석) _컨시어지 MVP란? (0) | 2019.09.10 |